[꿀팁쓰] 세 시간 만에 책 한 권 읽는 비법
- 권경미 변호사의 라이프(Life)/알로하 취향
- 2020. 9. 11.
여러분 이번엔 저의 재능(???) 나눔 하나 할게요.
바로 책 빨리 읽는 비결이랍니다.
저는 신문이나 책을 꽤 빨리 읽는 편이에요. 보통 세네 시간 정도면 책 한 권을 읽어요.
(저보다 빨리 읽으시는 분들 앞에서 주름잡아 죄송합니다 ㅠㅠ)
그 비법은 다음과 같답니다.
(사람마다 효율적인 독서방법은 다를 수 있으니 필요한 부분만 챙겨가세요 😁)
전자책을 사거나(대여해서) 스마트폰으로 읽자!!
물론 종이책의 질감을 애정 하신다거나, 종이책 UI에 익숙하신 분들은 이 방법을 안 따라 하셔도 돼요.
하지만 이런 분들을 제외한 정말 많은 분들이 매일 스마트폰을 사용하시면서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스마트폰 독서에 매우 익숙하실 거예요.
따라서 갖고 계신 스마트폰으로 전자책을 보신다면 굉장히 스피디하게 읽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해요.
(저는 전자제품 덕후라 데탑과 노트북, 아이패드도 갖고 있지만.. 저에게는 스마트폰이 찰떡입니다)
일단 한눈에 전체 페이지가 쭉 들어오는 점이 좋아요. 왜 속독 학원에서 사선으로(↘) 읽으라고 시킨다고 하잖아요. 제가 다닌 적은 없고 인터넷에서 봤어요. 이게 가능해져요.
또한 스와이프만으로 페이지가 술술 넘어가니 책장 넘기는 시간도 절약할 수 있답니다.
전자책의 또 다른 장점, 어디서든 읽을 수 있어요. 대중교통 이용할 때, 약속 기다릴 때, 심지어 화장실(?)에서도... 읽다 보면 자연스럽게 자투리 독서시간을 확보할 수 있고 그만큼 빨리 완독 할 수 있어요.
목차를 훑고 시작하고, 중간중간에도 확인하자!!
길잡이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의 차이는 큽니다. 목차를 보시면 책의 전체적인 흐름을 유추할 수 있어요. 동시에 책의 중심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고요. "이 책은 이 말하려는 거야."라는 생각이 머릿속에 자리 잡히고 나면, 자연스럽게 책에서 좀 더 집중해서 읽어야 할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을 골라낼 수 있답니다.
책을 읽는 중간중간에도 목차를 계속 확인하면 삼천포로 빠지지 않을 수 있답니다.
강약을 조절하자!!
모든 책에는 저자의 주장(혹은 의견)이 있고, 이를 뒷받침할 근거가 있으며, 주장이나 근거에 논리력을 더해 줄 예시나 인용이 있어요. 그렇다면 어떤 부분에 강약을 두어야 할지 아시겠죠?
바로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"주장" 이를 뒷받침 하는 "근거"에 포커스를 맞추셔야 합니다. 극단적으로 주장/근거만 명확하게 이해했다면 예시나 인용은 안 읽고 지나가도 책 내용을 파악하는데 지장이 없어요. 따라서 이런 부분은 가볍게 훑고 가세요.
(예시나 인용은, 나의 말과 글에서 써먹고 싶을 때만 유심히 읽고 보관합니다)
-이는 비문학에 좀 더 맞는 독서법이긴 하지만요. 문학에도 비슷하게 적용할 수 있어요. 전체적인 줄거리는 강하게... 세세한 장면 묘사는 가볍게.. 이런 식으로요.
모르거나 어려운 내용에 집착하지 말자!!
책을 읽다 보면 아마 잘 이해가 되지 않아 계속해서 같은 곳을 읽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을 거예요. 이럴 때는요. 해당 부분 메모를 해 두거나, 사진을 찍어 두고 넘어가세요(요즘 전자책 어플 중에 캡처 기능이 있는 경우도 있는데 아주 유용해요).
그리고 잊고 있다가 책을 다 읽고 난 후에 비로소 해당 부분으로 돌아오세요. 그러면 장담하건대... 상당수는 자연스럽게 이해되어 있을 거예요(그만큼 독서는 나무보다 숲을 보는 게 중요하다는 거겠죠)
그래도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이제 해당 부분을 분석해 보면 된답니다.
그럼에도 허전하다면 독후감을 쓰면서 복기하자!
저도 그동안 이 방법은 쓰지 않다가요. 얼마 전부터 블로그에 가끔 독후감을 포스팅하기 시작했어요. 그런데 아주 좋은 것 같아요. 일단 독후감 속에는 간략하게 라도 책에 대한 요약이 들어가잖아요. 이렇게 책을 요약하는 과정에서 다시 한번 머릿속에 책의 주요 내용이 정리되어요. 특히 공개글로 포스팅하면 남들이 볼 것을 고려해 보다 정확하게 핵심 내용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(또한 내가 까먹고 싶지 않은 부분을 포함시켜 두었다가, 나중에 쭉 읽어 보면 평생 기억하는데 도움이 될 거예요)
나아가 처음부터 남들과 지식을 공유할 생각으로 읽다 보면 집중도 더 잘 된답니다.
제 생각 엔요. 책 한 권을 자세히 읽는 것도 나쁜 건 아니지만(수험 공부라면 이렇게 하세요), 요즘 시대에는 최대한 다독을 하여 많은 정보를 빠르게 습득하는 것이 더 중요한 것 같아요!!
필요한 분들께 유용한 정보가 되었길 바라면서 이 글을 마칩니다 :)